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산불의 습격, 화재 진압 어려운 이유?

2023-04-23 1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산불의 습격, 화재 진압 어려운 이유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꺼진 불도 다시 보자는 이 말을 실감케 하는 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잊을만하면 발생하는 산불을 줄일 획기적인 대책은 없는 걸까요?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박서휘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월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문현철 한국산불학회장을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?<br /><br />[문현철 / 한국산불학회장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올봄에도 어김없이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이렇게 빈번하게 산불이 발생하는 이유 뭐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[문현철 / 한국산불학회장]<br /><br />이렇게 산불이 발생하는 특히 빈번하게 산불이 발생하는 이유는 그게 한 세 가지로 진단할 수가 있는데요.<br /><br />첫 번째는 기후적 요소, 두 번째는 숲의 환경적 요소, 세 번째는 산불 위험성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의 요소 이렇게 세 가지 원인입니다.<br /><br />첫 번째는 기후 위기로 인해서 가뭄의 일수들, 강풍의 일수들 가뭄과 또 강풍이 동반한 이런 기후적인 특징들이 길어지고 있다는 겁니다. 그래서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요.<br /><br />두 번째는 우리 그 숲의 구조가 매우 불에 탈 수 있는 연료 물질 낙엽과 잡목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렇기 때문에 대형 산불이 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고 세 번째는 산불의 발생 원인들이 대부분 사람의 실수에 의한 것인 사람에 의한 것이 대부분인데요. 거의 99%가 사람에 의한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우리 사람들이 산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을 너무 많이 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숲 산자락에서 너무 이렇게 불을 태우는 일, 불을 촉발시키는 일들을 많이 하고 있다. 세 가지 요인이 초대형 산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이렇게 진단할 수가 있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런데 이 대형 산불을 헬리콥터로 진압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거든요. 어떤 대책이 필요해 보이나요?<br /><br />[문현철 / 한국산불학회장]<br /><br />말씀을 드린다면 이제는 고정익 항공기 즉 헬리콥터가 아닌 일반 비행기로 산불을 진화해야 될 시기가 와 있다라고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왜 그러냐면 헬리콥터는 강풍에 좀 취약하고 이번에 강릉 산불에서 여실히 드러났습니다. 강풍에 취약하고 야간 진화가 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이렇기 때문에 일반 비행기 고정익 항공기로 이렇게 산불을 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. 왜냐하면 강풍과 야간 운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가 있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소나무가 유독 산불에 취약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하고요. 그렇다면 소나무가 아닌 다른 나무들로 숲을 가꾸는 게 좋을까요?<br /><br />[문현철 / 한국산불학회장]<br /><br />소나무를 비롯한 침엽수에는 휘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마르지 않은 생나무의 경우에도 뜨거운 불길 뜨거운 어떤 불길이 다가오면 폭발적으로 이렇게 불이 비화되고 또 수관화라고 하는데 수관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폭발적으로 불이 이렇게 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산불에 매우 취약하다라고 다들 얘기를 하는데요.<br /><br />그 대안으로서는 이제 내화수종 그리고 활엽수 이런 나무들을 골라서 계획적 조림이 필요하다 이렇게 진단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산불 피해지에서 나무를 다시 심을 때는 이런 것들을 고려해서 내화수종과 활엽수 같은 것들을 계획적으로 치밀하게 식재를 해야 될 시기에 와 있다 이렇게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산불 예방의 첫걸음이라고 한다면 어떤 게 주요해 보이나요.<br /><br />[문현철 / 한국산불학회장]<br /><br />산불 예방의 첫 걸음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산림 가까이에서 숲 가까이에서 숲 내에서는 산불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을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뭐 불을 피운다 할지 논두렁 밭두렁을 태운다 할지 숲 내에서 무슨 취사를 한다 할지 이런 건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거고요.<br /><br />두 번째는 국민적 인식의 개선입니다. 산불로부터 숲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생태기반적인 탄소 흡수, 우리가 문명생활을 위해서 이미 발생시킨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매우 생태기반적인 방법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산불로 이 숲이 불타버린다면 탄소 흡수 기능을 마비시켜버리기 때문에 어떤 인류적인 문제를 발생시키는 거다.<br /><br />그래서 인류적 과제로서 산불을 야기해서는 안된다라고 하는 그런 국민적 인식에 대한 교육이 초등학교 때부터 유치원 때부터 대학, 장년, 노년층까지 계속적으로 캠페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렇게 얘기할 수가 있겠고요.<br /><br />세 번째는 산불을 이야기하면 반드시 찾아내서 산불 야기자를 찾아내서 반드시 형사처벌을 하고 그리고 그 명단 공개를 하고 그리고 산불을 야기를 한 사람에는 그 산불을 진화하는 데 숲을 복원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반드시 손해배상 청구, 징벌적 손해배상 청구를 해야 된다.<br /><br />그래야 산불이 얼마나 나쁜 범죄 행위인지 얼마나 우리 인류 공동체를 위협하는 행위인지 이것을 인식시키게 된다. 이렇게 저는 얘기하고 싶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박서휘 캐스터)<br /><br />#산불 #산불예방 #기후온난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